갑자기 끊으면 더 심한 불면이나 불안, 초조 등의 금단현상이 일어나며 중독성 내성이 강한 정신과 약은 두 가지 보상적 조치를 취하면서 단계별로 줄여 끊는 탈감작을 해야 부작용 금단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게 단약할 수 있다.스틸녹스정 10mg은 매우 잘 처방되는 대표적인 수면제다. 졸피뎀정 등으로 판매되는 약과 같은 성분으로 상품명만 다른 약이다. 수면제 과다복용, 수면 중 반각성 행동 등으로 문제가 돼 잘 알려진 약이기도 하다. 두 약 모두 졸피뎀탈레이트 10mg의 단일 성분이다. 뇌중추신경계에 직접 작용해 뇌의 정상적인 활동을 느리게 하는 효과로 진정 안정 효과를 얻어 졸음을 유발하는 약이다.다양한 수면제 속에서 잠깐형 최면 진정제에 속한다. 즉, 약물을 복용하고 졸음이 유발되기까지의 시간이 매우 짧아 빈손인 편이다. 그래서 취침 직전에 바로 투여해야 한다. 그러나 노약자나 체력이 떨어지는 환자의 경우에는 스틸 녹스 자물쇠 10mg이 지나치게 작용할 수도 있어 절반으로 줄이고 복용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약물이 태반도 통과하고 태아에 영향을 준다, 임산부나 아이의 금기 약물이다. 장기간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 약이다. 최대 4주를 넘지 않도록 권장되는 약이다. 복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의존성과 내성의 위험도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 약을 멈출 수 없으니 1개월 이상 몇개월, 1년 이상 복용한 경우도 적지 않다. 불면증이 잘 낫지 않을 때는 기초 원인이 되는 불안, 분노, 우울 등의 요인 해소에도 노력하고 약물 사용을 줄여야 한다. 그런데 이런 부분은 전혀주 치료 과정에서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계속 더 높은 용량에서 다른 추가적인 정신과 약까지 더하면 더 강한 약이나 더 높은 용량만 해결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아진다. 그러나 그럴수록 내성과 의존성은 더욱 세지고 수면제 과다 복용 및 부작용 문제가 과제로 남게 된다. 이 약은 일반적인 정신과 약처럼 뇌 중추 신경계 억제에 의한 부작용을 닮았다. 그 중에서도 눈에 띄는 것은 바로 복합 수면 행태다. 즉 사람이 자는 것은 이불에 조용히 누워서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약을 먹고 확실히 잤지만 자다가 반 각성 상태에서 일종의 몽유병처럼 일어나고 잠결에 일어나서 일상 활동을 하게 된다. 물론 다음날 환자는 일어나더라도 그냥 수면제를 먹고 조용히 자고 난 줄 알고 있다. 복합 수면 행태 중에는 환자가 졸피뎀 자물쇠 등을 먹고 바로 잠에 띄었지만 실제로는 자다가 갑자기 일어나서 집 밖으로 나가고 외출하고 돌아오고, 또 운전을 하다가 사고가 일어나곤 한다. 그리고 혼자서 냉장고 음식을 꺼내어 먹고 가스 난로를 쓰고 칼을 사용하여 요리를 하기도 한다. 그리고 누군가 오랫동안 전화 통화를 하기도 한다. 그런데 그 다음날 당사자 자신은 이런 행동을 했는지도 전혀 생각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부작용은 모두 정상적인 뇌 중추 신경계 억제에 의한 부작용이다. 이 밖에도 기억력 저하, 반사 신경, 판단력 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 약을 먹고 운전하거나 다음 날 운전을 해도 위험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운전 중 졸현상도 생길 수 있다. 그리고 운전 중 돌발 상황에서 대처 반응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고령자의 경우에는 반사 신경이 둔화되고 넘어져전도 사고의 위험도 높아진다. 그리고 이 약은 신장, 간장이 나쁜 환자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또 다른 정신과 약과 병행 투약할 경우, 습관성 및 의존성의 정도가 심해질 위험이 높다. 스틸 녹스 자물쇠 10mg을 실제로 복용하는 환자의 가장 일반적인 부작용은 졸음과 만성 피로이다. 약을 먹고 자는 시간 자체는 늘어나지만 푹 잔 것 같지는 않고 항상 몸이 피곤해서 낮 잠이 잘 나타난다.그리고 이런 약을 오래 쓸수록 신경 쇠약이나 전신 쇠약으로 인한 피로도 증가가 눈에 띄게 높아진다. 이 외에도 두통, 어지럼증, 건망증 같은 인지 기능 저하, 환각 초조 악몽 등이 나타나는 일이 있다. 소화기의 부작용으로는 속쓰림, 구토, 복통, 설사 등이 비교적 흔한 부작용에 속한다. 그래서 이런 부작용 때문에 약물을 끊는 경향도 조심해야 한다. 이미 4주 이상 복용한 경우에는 갑작스러운 약물 중단에 의한 약물 절벽 상황이 발생하고 금단 현상이 잘 드러나기 때문이다. 특히 이 약은 반동성 불면증이 금단 현상으로 잘 나타난다. 이는 마시던 수면제를 그만두면서 오히려 초기보다 더 심한 정도의 불면증이 재발하게 된다. 그리고 불안, 초조 등을 동반하게 되는 게 특징이다. 50대 여성 a씨도 그런 예다. a씨도 이 약과 수면 보조제, 우울증 약까지 5개월 정도 복용했지만 요즘은 잠도 조금 좋아지고 우울 불안, 두통, 현기증, 가슴 앓이 등 증상도 더욱 적어졌다. 그래서 수면제 과다 복용이 걱정에서 임의로 마시던 약을 줄였다. 그러자 3일까지는 그다지 이상 반응이 없었지만 약을 끊고부터 4일째 밤부터 잠을 못 자고, 몸을 찍게 됐다. 그리고 심장의 두근거림과 불안, 초조, 불안하고”이대로는 큰일이 아닌가”이란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a씨는 당초 홧병과 불안 신경증 때문에 불면증에 현기증, 가슴 앓이 등이 함께 나타난 사례였다. 어느 날 교통 사고 피해를 받았지만 상대 측에서는 a씨를 교통 사고 가해자로 몰았고 결국 몇달 간 경찰 수사를 통해서 겨우 잡은 상황이 있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상대에 대한 분노와 자신이 나쁜 짓을 저지른 건 아닌데 자신의 실수로 죄를 씌우면 어쩌냐는 불안 요인이 홧병과 불안 신경을 유발한 것이다. 이런 부정적 정서 자극이 뇌에 과부하를 초래하고 이 때문에 뇌가 깨어 잠을 잘 못 자 된 것이다. 그리고 자율 신경이 과민하게 되고 머리 주변의 혈관과 근육을 수축시키며 두통, 현기증, 이명 등이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위와 장에도 내장 근육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내장 근육도 자율 신경이 지배한다. 그래서 이런 걱정이 수개월 간 진행되는 동안에 위와 장의 내장 근육이 함께 수축되면서 멱살 달과아 명치의 아픔, 배의 꼭대기가 굳어지는 증상 등이 함께 나타난 것이다. 이런 신경 쇠약 등 기본 원인이 있어서 뇌가 자꾸 각성 상태로 되어 잠을 못 잔 것이다. 이를 인위적으로 약만으로 중추 신경계를 억제하는 순간 졸릴 것이다. 그러나 이런 약만으로는 기저 원인이 전혀 줄어들거나 해소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 상태에서 기존에 계속 들어온 정신과 약이 갑자기 중단되면 금단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갑자기 약물을 끊보다는 한약에서 보상적 조치를 취하면서 처음에는 양약과 함께 썼는데, 점차 나아질 것을 보고양약을 단계별로 줄이면 금단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그리고 그동안의 신체화 증상으로 두통, 현기증, 이명, 속쓰림, 배꼽 주변의 긴장 등 전신 증상도 신경 쇠약을 보강하고 자율 신경을 안정시키는 한약으로 치유한. 이런 증상은 불면증과 전혀 별개의 문제가 아니다. 홧병이나 불안 신경증의 기본 원인이 뇌에 과부하를 초래하고 만든 신체화 반응이다. 그래서 수면제와 머리 아픈 것, 진통제로 가슴 아픈 것, 소화제를 따로 사용 방식으로는 잘 낫지 않은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자율 신경이 과민하게 되지 않도록 안정시키며 신경 쇠약을 보강하면 주간의 졸음이나 만성 피로 같은 부작용도 동시에 완화된다. 그리고 이런 신체적 보상과 함께 심리적 보상도 중요하다. 즉 환자의 신체 증상의 뒤에는 불안과 긴장, 억압된 분노 등 정서적 자극이 계속 모르게 반복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런 부분이 심리적으로 적어지도록 마음의 정리와 마인드 컨트롤이 되어 주면 신체 증상도 더욱 빨리 안정되게 된다. 그리고 정신과 약을 줄이는 때는 복용 기간, 복용 용량, 다른 약의 병행 여부, 환자의 성격적 불안, 현재 스트레스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약물 감량 정도를 정교하게 줄여야만 금단 현상이 생길 확률도 낮아진다. 글/한의사 강·용효크(경희심의 자리 한의원)궁금하실 때 네이버톡 해주세요!궁금하실 때 네이버톡 해주세요!